정 의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A?B?C)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 |
질병분류 |
ICD-10 J10.0~11.8 |
병원체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
전파경로 |
감염된 환자의 호흡기로부터 비말(droplet)로 전파 |
호발대상 |
전 연령대 발생 |
잠복기 |
1∼4일(2일) |
전염력 |
- 전염력은 증상 시작 1일 전부터 4∼5일간 가장 높아짐 - 단, 소아나 면역저하자에서는 바이러스 배출기간이 2주 이상 길어지기도 함 |
주요증상 |
- 고열(38∼40℃), 마른기침, 인후통 등 호흡기 증상과 두통 근육통, 피로감, 쇠약감, 식욕부진 등 전신증상을 보임 - 그 외에도 콧물, 코막힘, 안구통, 구토, 복통 등이 동반될 수 있음 - 대부분 경증으로 자연 치유되지만 노인, 영유아, 만성질환자, 임신부 등은 합병증 발생 또는 기저질환의 악화로 입원치료를 받을 수 있고 일부는 사망에 이를 수 있음 - 증상 지속 기간 5∼9일 |
합병증 |
- 가장 흔한 합병증은 2차 호흡기 질환으로 부비동염, 중이염 등 상부호흡기 감염증이 가장 흔하고 모세기관지염, 기관지염, 폐렴 등 하부호흡기 감염증, 신경계 합병증(뇌염, 척수염, 길랑-바레 증후군), 횡단성 척수염, 심근염, 근육염(횡문근 융해증), 기흉 등이 발생 가능함 |
진 단 |
- 검체(인후 및 비인두 도찰물, 인후 및 비인두 흡인물) ? 인플루엔자 특이항체 검출, ? 바이러스 특이 유전자 검출,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확인 |
치 료 |
대증요법 항바이러스제 치료 |
치사율 |
인플루엔자 합병증 등으로 인한 사망률은 0.5-1명/1000환자 |
예 방 |
? 예방 백신 ? 일반적 예방 - 올바른 손씻기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기침 예절 ? 기침이나 재채기 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 위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 마스크 착용 - 손으로 눈, 코, 입 등을 만지지 않기 - 급성호흡기환자와 접촉하지 않기 |
번호 | 제목 | 등록인 | 등록일 | 조회수 | 첨부 |
---|---|---|---|---|---|
193 | 술은 좋은걸까? | 김선옥 | May 14, 2019 | 6289 | |
192 | 부모님을 위한 성교육 | 김선옥 | May 14, 2019 | 6354 | |
191 | 말라리아 예방 | 김선옥 | May 14, 2019 | 6434 | |
190 | 계절의 여왕 5월은 알레르기의 계절이기도 합니다. | 김선옥 | May 14, 2019 | 6457 | |
189 | A형 간염이 위험하다고요? | 김선옥 | May 14, 2019 | 6304 | |
188 | 5월 31일은 무슨 날일까요? | 김선옥 | May 14, 2019 | 6310 | |
187 | 청소년흡연이 더 해로운 이유 | 김선옥 | Apr 8, 2019 | 6490 | |
186 | 성폭력예방 | 김선옥 | Apr 8, 2019 | 5651 | |
185 | 인플루엔자 예방 | 김선옥 | Apr 8, 2019 | 6397 | |
184 | 4월7일은 세계 보건의 날 | 김선옥 | Apr 8, 2019 | 6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