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코로나19 발병 3개월 이내에 시작되어 최소 2개월 이상 증상이 있으면서 다른 진단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를 코로나19 후유증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피로감, 호흡곤란, 우울, 불안, 인지 저하 등 200개 이상의 다양한 증상이 코로나19 후유증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격리 해제 이후에도 증상이 오히려 악화 양상을 보이거나 기간 상관없이 폐렴을 의심할 수 있는 38.5도 이상의 고열, 호흡곤란, 누런 가래 증세가 나타나는 경우, 그리고 2~3주간의 급성 기간이 지났음에도 증상이 지속적으로 남아 있는 경우는 병원에 내원하여 다른 합병증이 없는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코로나19 후유증의 지속 기간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WHO에 따르면 확진자 대부분은 완전히 회복하지만, 약 10~20%의 환자는 감염 초기증상이 회복된 후에도 다양한 증상을 중장기적으로 경험합니다. 이는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초기 증상의 중증도 및 입원 여부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법은 현재까지는 알려진 바 없습니다. 코로나19 후유증의 완화를 위해서는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며, 코로나19 감염 후 새로 나타나거나 지속되는 증상에 대해서는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코로나19 격리 해제 후 불안, 우울증 및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정신건강 악화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국가심리지원센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hidoc.co.kr/하이닥 메디컬 뉴스
번호 | 제목 | 등록인 | 등록일 | 조회수 | 첨부 |
---|---|---|---|---|---|
79 | 여름방학 건강관리 안내문(제13-148호) | 신영옥 | Jul 25, 2013 | 3711 | |
78 | 학생 성폭력 예방 사이버교육 안내문(제13-145호) | 신영옥 | Jul 22, 2013 | 3656 | |
77 | 2013년 7월 보건소식지 알림(제13-132호) | 신영옥 | Jul 2, 2013 | 3267 | |
76 | 2,3,5,6학년 구강 치아우식 관리 안내(제13-131호) | 신영옥 | Jul 2, 2013 | 3280 | |
75 | 1,4학년 구강검진 치아우식 관리 안내문(제13-120호) | 신영옥 | Jun 19, 2013 | 2852 | |
74 | 1,4 학년 출장검진 결과(비만,시력)안내(제13-119호) | 신영옥 | Jun 19, 2013 | 3052 | |
73 | 2013년 6월 보건소식지 알림(제13-109호) | 신영옥 | May 31, 2013 | 2787 | |
72 | 작은소참진드기 감염병 예방 안내문(제13-106호) | 신영옥 | May 27, 2013 | 2734 | |
71 | 2013년 신체검사 결과 안내문(제13-101호) | 신영옥 | May 15, 2013 | 2806 | |
70 | 1,4학년 정서.행동특성검사 안내문(제13-99호) | 신영옥 | May 13, 2013 | 27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