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코로나19 발병 3개월 이내에 시작되어 최소 2개월 이상 증상이 있으면서 다른 진단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를 코로나19 후유증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피로감, 호흡곤란, 우울, 불안, 인지 저하 등 200개 이상의 다양한 증상이 코로나19 후유증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격리 해제 이후에도 증상이 오히려 악화 양상을 보이거나 기간 상관없이 폐렴을 의심할 수 있는 38.5도 이상의 고열, 호흡곤란, 누런 가래 증세가 나타나는 경우, 그리고 2~3주간의 급성 기간이 지났음에도 증상이 지속적으로 남아 있는 경우는 병원에 내원하여 다른 합병증이 없는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코로나19 후유증의 지속 기간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WHO에 따르면 확진자 대부분은 완전히 회복하지만, 약 10~20%의 환자는 감염 초기증상이 회복된 후에도 다양한 증상을 중장기적으로 경험합니다. 이는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초기 증상의 중증도 및 입원 여부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법은 현재까지는 알려진 바 없습니다. 코로나19 후유증의 완화를 위해서는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며, 코로나19 감염 후 새로 나타나거나 지속되는 증상에 대해서는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코로나19 격리 해제 후 불안, 우울증 및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정신건강 악화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국가심리지원센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hidoc.co.kr/하이닥 메디컬 뉴스
번호 | 제목 | 등록인 | 등록일 | 조회수 | 첨부 |
---|---|---|---|---|---|
89 | 4월 보건소식지(제14-43호) | 박진숙 | Mar 31, 2014 | 3675 | |
88 | 2014년 건강기초조사 응급관리안내(제14-15호) | 신영옥 | Mar 10, 2014 | 3595 | |
87 | 2014년 3월 보건소식지 (제14-14호) | 신영옥 | Mar 10, 2014 | 3622 | |
86 | 2013년 겨울방학 건강관리 안내문(제13-231호) | 신영옥 | Dec 24, 2013 | 3839 | |
85 | 12월 보건 소식지(제13-219호) | 박진숙 | Nov 29, 2013 | 3704 | |
84 | 6학년 파상풍,디프,일본뇌염 추가접종(제13-213호) | 신영옥 | Nov 21, 2013 | 3388 | |
83 | 2013년 11월 보건 소식지 알림 (제13-203호) | 신영옥 | Nov 4, 2013 | 3306 | |
82 | 5,6학년 수학여행 전 안전사고, 성폭력예방(제13-193 | 신영옥 | Oct 8, 2013 | 3250 | |
81 | 2013년 10월 보건소식지 안내(제13-184호) | 신영옥 | Oct 2, 2013 | 3381 | |
80 | 9월 보건소식지(제13-159호) | 박진숙 | Aug 30, 2013 | 35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