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탄력성’ 은 역경이나 좌절을 경험했을 때 그것을 잘 버티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말하며, 좌절과 시련이 아이들을 더 강하게 변모시킨다고 보는 것입니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아이들은 남보다 큰 어려움을 겪을 때도 잘 될 거라는 믿음과 용기, 유연성을 잃지 않습니다. 다른 아이들보다 유독 짜증을 내고 도전을 두려워하며 쉽게 좌절한다면 지금부터라도 회복탄력성을 키워야 하며 부모의 양육 태도가 절대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1. 세상의 중심이 '나'가 아님을 알려줍니다.
- 자신이 원하는 것을 모두 할 수는 없다는 것을 가르쳐야 합니다.
2. 열린 질문을 합니다.
- 자신의 감정을 먼저 정확하게 인식해야 합니다.
3. 자신의 경험을 대입해보게 합니다.
- 두 사람이 함께 있는 사진을 보여주고 어떤 상황인지, 어떤 기분을 느끼고 있을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하고 말해보게 합니다.
4. 천천히 심호흡을 합니다.
- 화가 나고 좌절감을 느낄 때 심신을 안정시켜 줍니다.
5. 즐거웠던 기억을 떠올리게 합니다.
6. 밖으로 나가서 놀게 합니다.
- 친구들과 놀다 보면 자기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 또한 발달합니다.
7. 충분히 잠자게 합니다.
8. 갈등 상황에서 긍정적으로 말합니다.
- 먼저 아이의 속상한 마음을 공감하고 이해해줍니다.
9. 할 수 있다고 아이를 독려합니다.
- 아이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시간을 갖고 기다려 주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10. 결과가 아니라 '과정'을 칭찬합니다.
- 결과보다 과정을 칭찬하고 아이를 늘 믿고 지지한다는 확신을 심어주는 게 중요합니다.
11. 부모가 알아서 다 해주는 아이는 유약합니다.
12. 부모는 아이의 숨은 조력자가 돼야 합니다.
번호 | 제목 | 등록인 | 등록일 | 조회수 | 첨부 |
---|---|---|---|---|---|
169 | 불편한 감정, 이렇게 표현 해 봐요 | 김선옥 | Nov 8, 2018 | 4787 | |
168 | 최근 유행하는 독감과 수두 알아볼까요? | 김선옥 | Nov 8, 2018 | 4450 | |
167 | 우리는 하루에 몇 시간을 자야 할까? | 김선옥 | Nov 8, 2018 | 4445 | |
166 | 혹시 나의 장난이~~ | 김선옥 | Oct 5, 2018 | 4452 | |
165 | 기생충약, 복용하셨나요? | 김선옥 | Oct 5, 2018 | 4573 | |
164 | 한 잔 정도는 괜찮다고요? | 김선옥 | Oct 5, 2018 | 4507 | |
163 | 고난에 부딪쳤을 때 일어나는 힘, 회복탄력성! | 김선옥 | Oct 5, 2018 | 4623 | |
162 | 10월15일. 무슨 날일까요? | 김선옥 | Oct 5, 2018 | 4831 | |
161 | 독감예방접종, 언제 할까요? | 김선옥 | Oct 5, 2018 | 4825 | |
160 | 환절기, 피곤하지요? | 김선옥 | Oct 5, 2018 | 4679 |